본문 바로가기
Study/Vissim Advanced

[Vissim Advanced] Node evaluation

by Taeho 2021. 8. 18.

이번 글에서는 구축한 VISSIM 네트워크의 교통서비스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Node 구축 및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Node Evaluation을 하는 이유?

시뮬레이션은 현실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교통상황에 대해 사전에 분석하는데에 기초한다. 따라서 현실과 유사한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한 뒤 교차로의 평균지체 등을 분석함으로써, 교차로의 전체적인 서비스 수준을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Node Evaluation은 먼저 교차로 내의 교통량이 현실과 유사하게 나타났는지를 확인하고, 교차로 지체시간(VehDelay)를 계산할 수 있게한다. 이외에도 다른 분석값을 도출(Qlen, Stopped Delay, Emissions, Fuel Consumption 등)이 가능하다.

 

Node 구축

먼저 노드는 Network Objects 리스트에서 Nodes를 클릭한 뒤 오른쪽 버튼을 눌러 Polygon형태로 만들어 진다.

 

교차로 전체를 포함할 수 있도록 적정한 크기로 구축을 하면 된다. 

주의사항으로는 Node간 중복되는 부분이 없도록 해야 한다. 

더보기

이때, 의문이 드는 사항이 좌, 우회전 베이의 포함여부이지만, 결과적으로 크게 관계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접근 교통량이 600대/시 주기 120초에 녹색시간 40초인 조건인 경우에서 테스트 시 지체시간이 약 1초 정도 감소하였으나 이는 무시할수 있는 수준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분석 목적에 맞게 Node 형태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728x90

구축을 완료하면 다음과 같은 Node 설정 window가 뜨고 여기서는 Node의 속성을 수정할 수 있다.

이때, Use for evaluation가 체크되어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기본적으로 체크가 되어있어 별도의 확인이 필요는 없다.)이는 해당 노드의 분석을 허용하는 것으로써 활성화 시 구축한 교차로의 분석정보를 얻을 수 있다.

 

분석이 필요한 모든 교차로에 Node 구축이 끝나면 다음으로는 Node 분석을 어떻게 시행할 것인지 Configuration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728x90

분석 설정

VISSIM에서 분석에 관련된 설정을 위해서는 Evaluation Configuration(메뉴 탭 -> Evaluation -> Configuration)에서 필요한 분석을 활성화함으로써 분석을 시행할 수 있다.

 

Configuration에서는 다양한 Analysis Material에 대해 분석 상세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을 수행할 Analysis Material의 Collect data를 활성화 함으로써, 해당 Material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From-time, To-time은 시뮬레이션 시간을 기준으로 분석 시종점을 설정 할 수있다. 이는 주로, Warming-up Time (Network가 큰 경우에 시뮬레이션 차량이 구축한 Network의 내외부에 전부 분포될 수 있도록 주는 시간) 또는 분석 시간이 1시간을 넘을 때 주로 사용된다.

※ 이때 만약 분석시간이 3600초를 넘을경우에는 Simulation Parameter의 Period 값을 분석이 끝나는 시간과 일치 시켜줘야 한다, 기본값으로 시뮬레이션이 3600초까지만 되도록 설정이 되어있으므로, 3600초을 초과하여 분석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해당 parameter 값을 변경하는 것을 잊지말자!

 

Interval은 분석 간격을 뜻하는데, 10분 단위, 1시간 단위의 분석데이터 구분을 가능하게 한다.

본 글에서는 Node Evaluation을 수행하기 때문에 Nodes의 Collect data 부분을 체크하면 된다.

 

기본적인 분석 외에 더 디테일한 분석 설정을 원할 경우 옆에 More 버튼을 눌러보자.

Node에서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은 Delay의 시작점 및 Queue에 대한 설정 부분이다.

이는 크게 설정할 이유는 없으나, 필요하다면 분석 목적에 맞게 Customizing이 가능하다.

 

분석결과 확인

분석설정을 마친 뒤에는 우선적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시뮬레이션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자.

이후, Evaluation -> Result Lists -> Node Results를 클릭하여 Node분석결과 List를 열어 확인이 가능하다.

 

 

Results List에서 보면 다양한 Columns 들이 나열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각 Column들은 각 분석 목적에 맞는 data들이 입력이 되어있고 먼저 Movement값과 Vehs값을 살펴보자.

Movement는 Node에서 차량들이 지나갈 수 있는 경로에 link 값을 이용해 방향을 나타내고 Vehs값을 해당경로를 지나간 차량의 대수를 의미한다.

 

Movement값을 살펴보면 맨 첫번째줄에 1 - 1@126.4 - 7@8.7 값은 교차로번호(교차로명) - 1번링크@"link position" - 7번링크@"link position"으로 해석할 수있다(따라서, 1번교차로에서 1번 링크에서 7번링크로 가는 방향의 데이터)

   ※  2020버전에서는 Direction Attribute를 통해 어느 방면에서 어느방면으로 가는지 확인이 가능함

Movement 마지막 줄은 1로만 적혀 있고 상세한 Movement 정보가 적혀있지 않다. 이는 1번 교차로의 Total 정보로, 교차로 전체의 차량지체(VehDelay)값을 도출하는데 쓰인다.

 

더 많은 Node의 분석 Attribute에 대한 값을 얻고 싶다면 Column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Attributes Selection을 클릭하면, Defalut로 Column에 제시되어있는 것 이외에 더 많은 값에 대한 데이터를 list에서 표출이 가능하다.

 

이로써, 노드 구축, 분석 그리고 결과값 해석 방법에 대해 완료하였다.

사용자들은 각 프로젝트 목적 맞게 Node를 설정하고 원하는 분석값을 얻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대표사진 출처 : https://m.blog.naver.com/koti10/221935595961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