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Data Collection points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점” 을 지정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수집을 원하는 곳의 자세한 분석 정보를 알 수 있다.
구축방법
Data collection Points는 Network Objects -> Data Collection Points를 클릭하고 원하는 지점의 link 및 connector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차선별로 구축할 수 있다.
이는 다시말하면, 도로 위의 정보를 차선별로 알 수있다는 것이다.
구축방법은 아주 간단하지만 Data Collection Points는 Node 및 Travel time과는 다르게, 각 point들에 대해서 분석 그룹(Measurement)을 설정 해주어야 한다.
Evaluation -> Measurement Definition -> Data Collection Measurements를 클릭하여 리스트 창을 열어 그룹(Measurement)이 생성이 가능하고 각 그룹에 앞서 구축한 point를 assign시키면 된다. 여기서 각 그룹별 point의 개수는 상관이 없다. 그룹의 역할은 각 그룹안에 속한 points들의 값을 한데 모아 분석값을 도출함에 있다.
예를들어, 해당 link의 차량소통 정보를 알고 싶다면 lane별로 구축한 DataCollection points를 1개 그룹(measurement)에 할당하여야하고 차선별로 서로 다른 분석값을 얻고 싶으면 총 2개의 그룹(measurement)를 생성하여 각 그룹에 1차선 data collection point, 2차선 data collection point를 각각 따로 설정하여한다.
차선별로 구축한 수많은 data collection point를 모든 그룹에 각각 지정해주는 것은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닐수 없다. 다행히도, 이러한 귀찮은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빈 list 창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옵션창을 열어보자.
여기서 “Generate all (group)” 을 선택해주게 되면 같은 링크 or 커넥터에 위치한 Data collection point가 모두 같은 그룹에 할당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써, 각 그룹별 data collection point 분석을 위한 설정이 완료되었다.
분석설정 및 결과
Data collection point 분석을 위해서는 앞서 분석의 경우와 같이 Evaluation Configuration에 들어가서 Data collections의 collect data를 활성시켜 주어야 한다.
활용방안
나는 주로 data collection points 기능을 정산하는데에 활용한다.
User define attribute와 label기능을 활용하면 각 교차로의 방향별로 GEH값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산 값이 맞지않을때, 외부에서 부터 안쪽으로 검토하면서 어느 부분에서 잘못되었는지 시각적으로 파악하는데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Study > Vissim Advanc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sim Advanced] Parking Lot 구현-1 (1) | 2021.11.03 |
---|---|
[Vissim Advanced] Graphic parameter 변경 및 Result Visualization (0) | 2021.10.22 |
[Vissim Advanced] Travel time (0) | 2021.08.31 |
[Vissim Advanced] Node evaluation (2) | 2021.08.18 |
[Vissim Advanced] Queue evaluation (0) | 2021.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