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Vissim Advanced

[Vissim Advanced] Graphic parameter 변경 및 Result Visualization

by Taeho 2021. 10. 22.

시작하기

이번 글에서는 Vissim에서 기본으로 설정되어있는 Display Type을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Display type은 정적객체 변경과 동적객체 변경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정적변경은 네트워크 구축과정이나 시뮬레이션 분석에 의해서도 변경되지 않는 Objects의 색상을 변경한다. (예를들면, 버스전용차로 표현)
동적변경은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 분석결과가 Vissim network에 반영되어 표출된다. (예를들면, 히트맵)

 

Graphic parameter 변경

Object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Vissim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Display type은 Graphic parameter 설정에서 drawing mode를 통해 변경이 가능하다.

Graphic parameter는 Network objects 창에서 각 객체 오른쪽에있는 네모칸을 클릭하면된다.(아래 그림 참고)

 

Graphic parameter(좌) Graphic parameter 설정창(우)

Drawing Mode 설정

 

Drawing mode에는 1. use constant colors, 2. use display types, 3. use color scheme으로 총 3가지로 구분된다.

 

1. Use Constant Colors

"use constant colors"는 해당되는 모든 network object를(links의 graphic parameter를 변경하면 모든 links) 동일한 색상으로 변경하게 된다. 

Graphic parameter에서 Drawing Mode를 Use constant colors로 변경하게 되면(아래그림 1번 참고), 아래 그림의 2번, 3번 설정창이 활성화 된다. 2번은 Link속성을 편집할 수 있고, 3번은 Connector 속성을 편집할 수 있다.

728x90

현재는 기본설정으로 Link와 connector가 모두 회색으로 되어있으니 이를 변경해보자.

변경 후 달라진 점으로는 Link와 Connector를 색을 달리하여 구분이 쉬워졌으며, 변경 후에는 색상을 반투명색상으로 설정하여, basemap이 있는 경우 link가 basemap에 얼마나 잘 맞추어 그려졌는가를 판단하기가 이전보다 수월해진 장점이있다.

변경 전(좌), 변경 후(우)

반투명 색상은 색상선택 화면에서 Alpha값을 조정하여 반투명 강도를 조정하면 된다. 

 

2. Use Display Types

앞서 설명했던 것이 아무조건없이 동일한 Network Object에서 일관되게 적용이 되었다면, 이번에는 Display types기준에 따라 Drawing 방식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Link 구축 시 Link 및 Connector에 반투명 색상적용 및 버스 전용차로도 별도의 색상으로 표시하고 싶은 경우이다(아래 그림 참고).

우선 Drawing mode가 Display type을 기준으로 하므로 Link의 display type을 변경해주어야 한다.

display type은 Base Data 탭 -> Display Types를 클릭하여 설정이 가능하다.

Add 버튼을 눌러 새로운 Display type을 추가할수 있고 Fill Color 와 Border Color 설정이 가능하다.

이후 새로운 display type을 vissim link에 적용을 시켜주어야 한다. 변경하고자 하는 Link를 Link List에서 DisplayType을 변경하거나,  "더블클릭"을 한 뒤 열리는 Link option 창에서 Display type을 새로 만들어준 display type을 설정하면된다.

728x90

3. Use Color Scheme

Use Contant colors가 전체를 바꾸는 것, Use display types가 display type이라는 하나의 전제조건을 다는 것 이였다면, Color scheme은 전제조건을 조금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시뮬레이션 분석 중 Link의 속도에 따라 Link 색을 변화시키는 것을 예제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Link의 Graphic parameter 내 Drawing Model를 "Use Color Scheme"을 선택하자

Color Scheme을 선택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창이 뜨게 되는데 여기서 선태하는 Attribute에 따라 색을 설정할 수 있다.

Graphic parameter option창(좌), Color Scheme 설정창(우)

Attribute 설정창에서 Link evaluation segment _.min -> speed -> (current run x current interval x All types)를 선택한다. 이는 현재 시뮬레이션에서 현재 분석 interval 그리고 모든 차량에 대한 속도 정보를 불러온다.

이후, vissim에서는 일부 Attribute에 대해서 미리 지정해놓은 것이 있으므로 본 예제에서는 Speed를 선택하여 10km/h간격으로 색상을 구분하였다.

(색상 및 속도는 수정이 가능하다.)

이후, 시뮬레이션이 분석되면서 실시간으로 Link의 색상이 변하는 것을 보려면, Evaluation 탭에서 link에 대한 분석여부를 설정해주어야한다.

Node 분석할때와 마찬가지로 Evalution Configuration 창에 들어가서 Links의 Collect data를 체크하여 Link 정보를 분석할수 있도록 한다.

이때, Interval 분석 주기로써, link의 속도 색상정보가 update되는 주기와 같이 고려된다.

이때, More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나오는데 여기서 Lane segment로 하게 되면, LInk 전체가 아닌 각 차선별로 speed 정보를 통해 색상이 업데이트 된다.

 

 

Link evalution interval 비교 10(상) vs 100(하)

 

결론

이와같이 vissim의 visualization을 위한 몇가지 방법들을 알아보았다.

사실 표현하고자 한다면 더 많은 것을 표현할 수 있지만 이번글은 여기까지 설명하도록하고 추후 추가적인 내용이 있으면 새로운 글로 업데이트 하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