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sim을 설치하고 이후 vissim을 다루는데 있어서 기본이 되는 기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번 글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Vissim의 화면구성
- Network Editor
- Network Objects 및 Context meun 실행
- Network Objects 다루기
Vissim의 화면구성
초기에 Vissim을 실행하게 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표출된다.
Vissim은 Network Editor, Network objects로 크게 나뉘어 있고 탭을 클릭하여 vissim window내 배치를 자유롭게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layout을 구성할 수 있다.
Network Editor
Network Editor는 시뮬레이션 구축을 위한 작업화면이다.
Network 구축 시 가장 기본이 되는 화면 이동 및 확대를 위해서는 마우스 휠클릭 또는 휠을 이용해서 할 수 있다.
3D 모드에서는 화면이동 및 확대는 2d 모드와 동일하고, 화면 회전을 하기위하면 "alt + 휠클릭" 또는 아래와 같은 아이콘 클릭을 통해 조절 할 수 있다.
Network Editor의 세부설정은 아래그림의 무지개색 스패너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된다.
여기서는, 지도 설정, 시뮬레이션 시간, 로고 삽입등이 가능하며 3D 설정에서는 안개상황과같은 것을 표현할 수 있다.
Network Objects 및 Context Menu
Network Objects는 Vissim simulation network 구축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원하는 Object를 클릭하고 Network editor에 생성을하며 시뮬레이션 구축을 수행한다.
Edit -> User Preferences 창을 열게 되면, Network Editor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에 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Vissim에서는 마우스 오른쪽버튼과 Ctrl버튼은 조합을 통해 새로운 Objects를 생성하거나 Context menu를 여는데 쓰인다. 본 글에서는 아래그림과 같은 설정을 기준으로 설명이 진행 될 것이다.
Network Objects 다루기
Network Objects창에서는 Vissim Network 구축 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몇가지 보조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A : Object의 on/off,
B : Lock을 걸어 선택이 안되는 것
C : label 표시(D에서 label에 어느 정보를 표기할지 선택가능)
D : Graphic parameter 수정(일괄적으로 또는 조건에 따른 색상 변경이 가능함)
'Study > Vissim Tutor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sim Tutorial] Recording Video (1) | 2021.08.11 |
---|---|
[Vissim Tutorial] Public transportation stops & lines (0) | 2021.06.04 |
[Vissim Tutorial] Vehicle Composition (3) | 2021.05.16 |
[Vissim Tutorial] Priority Rules (0) | 2021.05.15 |
[Vissim Tutorial] Conflict Areas (0) | 2021.04.25 |
댓글